추천 가젯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나는 좋은 사람이 되지 않기로 했다. 그게 나의 생존이었다 — I chose not to be a good person. That was my way of surviving.(Steel Blue⑥)
“나는 좋은 사람이 되지 않기로 했다. 그게 나의 생존이었다”
Steel Blue Series #6 — I chose not to be a good person. That was my way of surviving.
나는 비겁했지만
그날 이후
착한 사람이 되지 않기로 했다.
그 선택이 나쁘다는 걸 알면서도
살기 위해서는
조금은 나쁜 사람이 되는 수밖에 없었다.
I was cowardly,
but after everything,
I chose not to be the good person anymore.
I knew it wasn’t noble.
But at that point,
being good was too costly.
So I chose to survive instead.
A사 동료들과 내 지인들,
그들에게 내 마음을 조금씩 말하기 시작했다.
마치 진실을 흘리듯,
마치 무너진 마음을 정리하듯.
I started to share pieces of my story
with coworkers,
with friends who had known me long.
I didn’t shout it.
I just let the truth slip out,
like dust shaken from a shelf
I hadn't touched in a while.
사람들은 놀랐다.
어떤 이들은 조용히 들어주었고,
어떤 이들은 본인도 그런 경험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난 그냥 다른 사람 만나면서 치유했어.”
“시간 지나면 아무것도 아니야.”
그렇게 말하는 그들을 보며
나는 묘하게 외로웠다.
Some were shocked.
Some listened quietly.
Some shared their own stories—
“I just moved on with someone new.”
“Give it time, it won’t even matter.”
But as I listened,
I felt oddly alone.
똑같은 상황을 겪었지만
그들은 가볍게 털고 일어섰고,
나는 여전히
그 감정 속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어느 순간,
말하고 싶어 견딜 수 없는 마음이
나의 혀를 앞질러 갔다.
They’d been through similar things,
but they’d moved on so easily.
Meanwhile,
I was still inside the emotion—
still carrying it.
And soon,
the urge to speak
outran my ability to hold it in.
나는 기회가 생기면
내 각오의 치부처럼
그 사람과의 일을 말했다.
때로는 조용히,
때로는 너무 격정적으로.
말하고 나면,
후련할 것 같았지만
후련하지 않았다.
Whenever there was a chance,
I spoke of him—
as if revealing a scar
was the only way to stop it from burning.
Sometimes calmly,
sometimes too intensely.
And after I spoke,
I thought I'd feel lighter—
but I didn’t.
내 이야기를 듣고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들.
그리고
“넌 그런 사람 만났구나.
나는 더 나았던 것 같아.”
그 말에 나는
더 조용해졌다.
이야기를 꺼낸 내가
더 작아졌다.
People nodded.
And then,
someone would say,
“So that’s the kind of person you were with.
Guess I was luckier.”
And just like that,
I grew smaller.
I shrank inside the very words
I had spoken to find peace.
결국 나는 깨달았다.
진짜 위로는
내가 털어놓는다고 오는 게 아니라는 것.
그리고 이건 복수가 아니었다.
이해받고 싶었던 마음,
외롭지 않고 싶었던 나의 생존이었다.
I realized something—
true comfort doesn’t always come
just because you speak.
And this wasn’t revenge.
It was my way of surviving loneliness,
my desperate attempt
to not be alone
in this pain.
그래도 아주 조금은
마음 한 켠이 후련했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처럼
어딘가 말하지 않으면
내 안이 터질 것 같았다.
Still,
there was some relief.
Like the king’s secret whispered into the well,
I had to say something,
or I would have exploded.
나는 상담을 가야 할까.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다.
지인이 말하길,
“그 병원 원장님은 그냥 묵묵히 들어줘.
말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돼.”
나는 망설였다.
그렇게까지 약한 나를
또 마주해야 한다는 사실이
두려웠다.
Should I get therapy?
I asked around.
A friend said,
“That doctor—he just listens.
Sometimes, that’s all you need.”
But I hesitated.
Facing myself
in that quiet, clinical space
scared me more than silence.
나는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이란 걸 안다.
사랑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정심은 여전히 나를 자극한다.
“잘 지내고 있을까.”
“혹시 그도 아프진 않을까.”
나는 연락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마음은 여전히 흔들린다.
I know he was not good for me.
I don’t love him anymore.
But still,
sympathy stirs inside me.
“Is he okay?”
“Does he hurt, too?”
I won’t reach out—
but my heart wavers anyway.
나는 착한 사람이 되지 않기로 했다.
그래야 겨우 숨을 쉴 수 있었으니까.
이 방법이 나쁜 줄 알지만,
지금은 이 방법이
나를 살게 만든다.
I chose not to be good.
Because only then
could I finally breathe.
I know this path is flawed,
but for now,
it’s the only one
keeping me alive.
댓글
댓글 쓰기